mysql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때
CREATE 명령어를 템플릿 형태로 가지고 있으면 작업이 편하다.
DB 테이블을 변경하고 생성하고, 조작하는데 있어
쿼리( Query )를 직접 사용할 때 편할 때가 있다.
기본적인 요소라면 고유아이디, 생성일, 수정일, 삭제여부, 사용여부, 고유키 정도일 것이다.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사용하면 된다.
![]() |
| MySQL CREATE Table Template |
MySQL Create Table Template Query
MySQL 테이블 생성 기본 템플릿 쿼리 만들기
어떤 일을 하든 템플릿을 만들어 두는 것은 중요하다.
일을 시작할 때 또는 중간에 수정할 때 조금은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보다,
이미 있는 것을 가지고 일을 하는 것이 수월하다.
DB 테이블을 조작할 때도 마찬가지.
테이블 하나 만들더라도 항상 사용하는 공통적인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CREATE TABLE 명령어를 사용한 쿼리 하나 정도는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아래는 본인이 사용하는 CREATE TABLE 템플릿 예시이다.
공통적인 부분은 선언되어 있고, 필요한 부분이 생기면 추후에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
CREATE TABLE 템플릿 코드
일단 코드부터 살펴보자.
아래는 본인이 사용하는 기본적인 템플릿 코드이다.
의미있는 부분도 있고, 의미없는 부분도 있다.
`왜 굳이 저걸 사용했을까?` 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아마 이런 부분은 `SUB_ID, DELETE_YN, USE_YN` 부분일 것이다.
이 부분은 업무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의미가 부여됨에 따라 다르다.
취사선택 부분이다.
USE 스키마명
;
DROP TABLE IF EXISTS 테이블명
;
CREATE TABLE 테이블명 (
`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
PRIMARY KEY
COMMENT '자동증가 고유아이디',
`UUID` BINARY(16) NOT NULL
PRIMARY KEY
COMMENT '보조 고유아이디',
`SUB_ID` VARCHAR(17) NOT NULL
PRIMARY KEY
COMMENT '보조 고유아이디',
`CREATED_DATE` DATETIME(6) NULL
DEFAULT CURRENT_TIMESTAMP
COMMENT '생성일',
`MODIFIED_DATE` DATETIME(6) NULL
DEFAULT CURRENT_TIMESTAMP
COMMENT '수정일',
`USER_ID` VARCHAR(20) NULL
COMMENT '사용자ID',
`DELETE_YN` VARCHAR(1) NULL
COMMENT '삭제여부',
`USE_YN` VARCHAR(1) NULL
COMMENT '사용여부'
) COMMENT '테이블 주석'
;코드 설명
위의 코드에 대한 간단한 언급을 해 본다.
`CREATE Table`에 대한 기본적인 문법을 알고 있다면
위의 코드는 쉬울 것이다.
굳이 언급할 내용이 있다면 각 컬럼들에 대한 의미일 것이다.
- ID
- 중복방지 / 고유값 생성, 자동증가
- PRAMARY KEY
- 테이블 데이터의 기본키로 사용.
- UUID / SUB_ID
- 보조 PK로 사용, 선택적 사용.
- 코드성 PK가 필요한 경우 사용.
- CREATED_DATE
- 생성일 / 데이터 생성 로그.
- MODIFIED_DATE
- 수정일 / 데이터 수정 로그.
- USER_ID
- 데이터를 생성, 수정한 사용자 ID 또는 시스템 코드 등을 설정한다.
- USE_YN
- 데이터의 사용 유무를 설정한다.
- 보통 코드 관련 테이블에 사용한다.
- DELETE_YN
- 실제 삭제는 되지 않지만, 삭제한 것처럼 데이터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함.
- USE_YN 컬럼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테이블과 컬럼의 의미는 명확하게 정의한다
굳이 사용해야 할까? 라는 의문이 들 수 있다.
결론을 말하면, `필요하면 사용하고,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컬럼의 정체성이다.
애매모호한 사용은 DBA 또는 개발자들이 난해하고 헷갈릴 수 있다.
컬럼명을 정하는 것이 난해하다만 만들어진 화면정의서를 보고 명확하게 구분짓도록 하자.
사용하지 않는 것은 과감하게 삭제하는 것이 유지보수에 편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