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리듬 뜻 생체 리듬 측정하기 그래프로 나의 상태 보기
바이오리듬을 이용하면 현재 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신체, 감성, 지성의 3가지 요소가 일정 패턴으로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데이터를 보고
현재 자신의 상태를 파악해 가장 최적의 활동성을 찾도록 하는데 참고하고 있다.
하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없지만,
자신의 상태를 수치화된 데이터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 |
바이오리듬 / 상태 보기 |
Biorhythm - Biological Ppattern
바이오리듬 뜻 생체 리듬 측정하기 / 나의 상태는 어디쯤 ??
과거 바이오리듬이 유행했었다.
신체, 감성, 지성의 데이터 수치는 신뢰할만 했고,
각 분야마다 적용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바이오리듬을 보고 최상의 컨디션을 찾고 그 때마다 중요한 일을 하기도 했다.
운동선수들의 경우
신체와 지성이 높은 시기에 주전선수로 선택되고 엔트리되기도 했다.
바이오리듬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증명된 사례는 없다.
실제 연구기관에서 테스트 했을 경우 맞지 않는 부분들이 더 많았기 때문.
바이오리듬에서 신체 상태는 최상이지만, 실제 측정했을 경우 컨디션이 최악일 경우도 있었다.
다만, 뇌를 속여 자신의 상태를 높이는 일시적이고 심리적인 효과는 노려볼 수 있을 것이다.
✅뜻과 그래프
모든 생물은 활동하면 휴식을 취하는 반복적인 기본적인 패턴을 가진다.
사람이 최상의 상태로 활동을 하는 조건을 찾기 위한 과학적인 연구도 꾸준하다.
사람에게 필요한 요소는 많지만,
대표적으로 `신체, 감정, 지성`이 있다.
이 3가지는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바이오리듬은 이 요소를 이용해 사람의 상태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바이오리듬`은 `신체, 감정, 지성`의 3가지 요소가 반복적인 주기를 가지는 이론으로,
사람의 출생일을 기준으로 반복적인 사인곡선으로 최상 또는 최하의 상태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신체, 감정, 지성`의 컨디션의 상태를 살펴보고,
자신이 오늘 어떻게 활동을 해야 할지 파악할 수 있다.
✅그래프 종류
바이오리듬( Biorhythm)은 3가지 그래프로 구성되며,
지정된 주기로 Sin곡선으로 표시된다.
각각 `신체 주기, 감성 주기, 지성 주기`로 구성된다.
`신체 주기`는 23일 간격으로 몸의 상태를 표시한다.
`감성 주기`는 28일 간격으로 감정과 기분을 표시한다.
`지성 주기`는 33일 간격으로 사고력, 집중력, 기억력을 표시한다.
- 신체 주기 / 23일
- 신체 능력, 힘, 지구력
- 감성 주기 / 28일
- 기분, 감정
- 지성 주기 / 33일
- 사고력, 집중력, 기억력
✅주기를 참고하는 방법
바이오리듬 그래프를 보면
나라는 하나의 인격체가 게임 캐릭터와 같은 느낌을 받는다.
`신체, 감성, 지성`이란 부분이 객관적인 데이터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과거 바이오리듬이 유행했을 때도 그랬지만,
이것을 이용해 오늘 하루 긍정적이고 활동적인 유익하게 보내고자 한 활동도 있었다.
지금도 그렇다.
어떻게 이용하면 좋을까?
`신체리듬`이 올라가면 운동과 같은 신체적인 움직임을 좀 더 활동적이고 시간적으로 오래 지속한다.
`감성리듬`이 올라가면 기분이 좋고, 감정이 안정되기에 대인관계, 예술, 협업 등의 작업을 평소보다 편안히 진행할 수 있다.
`지성리듬`이 올라가면 공부, 업무 분석 등의 문제해결능력이 높아진다.
반대의 경우는 말그래도 능력치가 떨어진다 생각하면 된다.
- 신체리듬 UP
- 운동과 활동성 향상
- 감성리듬 UP
- 안정된 감정, 협업, 회의, 대인관계 향상
- 지성리듬 UP
- 공부, 업무분석 등 문제해결능력 향상
✅그래프
바이오리듬의 모양은 사인곡선( Sine Wave )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사인 곡선은 삼각함수 중 하나로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물결 모양인 `파형`을 이룬다.
`파형`은 주기적인 반복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바이오리듬은 이런 파형을 이용해 `신체,감성,지성`의 상승과 하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프가 상승하면 능력치가 상승하고, 하락하면 능력치 또한 하락한다.
최고치에 올라가면 해당 부분의 능력은 최적화된 상태로 최대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흡사 게임의 그것과 비슷하다.
✅바이오리듬과 유사과학
바이오리듬은 유사과학의 하나이다.
유사과학은 객과적인 데이터 혹은 근거는 부족하지만,
사람들이 과학으로 느끼고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오리듬에서 나타나는 모든 수치가 객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실제 연구 결과와 맞지 않는 경우들이 대다수였기 때문.
그럼에도 바이오리듬이 지금도 유효하게 작용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만큼 삶이 팍팍하다는 것일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도 바이오리듬을 참고하는 분들 있다.
휴가 계획을 잡거나 또는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참고할 때 이다.
바이오리듬이 객관적인 근거는 부족한 것이지만,
사람이 자신에게 유리한 측면을 받아들이는 습성을 이용한다면 어떨까 ?
글쎄,
현재의 나 자신의 컨디션의 상태가 실제로는 최악이지만,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뇌해킹으로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