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과 순수익 차이 / 매출 대비 순이익 / 비율 계산하기 방법

어떤 이와 수익에 대한 얘기를 할 때 매출액과 순이익이란 단어를 들어볼 수 있다.
누군가는 매출액을 강조하고, 누군가는 순이익을 강조한다.
매출액은 이익 활동 등을 통해 벌어들인 총수익을 뜻한다.
순이익은 이익 활동 등에 필요한 비용, 원가 등과 이에 부과된 세금을 제외한 이익을 뜻한다.
회계일을 했거나 장사를 경험했던 분들이라면 단어의 뜻과 그 사람의 말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지만,
단어의 뜻을 잘 모르면 숫자만을 믿을 수 밖에 없다.
투자나 혹은 이익 또는 수익 활동을 위한 어떤 것을 하게 될 때
상대가 매출액과 순이익을 얘기한다면,
단어의 차이와 숫자를 비교하고, 냉정하게 판단하도록 한다.

매출과 순수익 차이 / 매출 대비 순이익 / 비율 계산하기 방법
매출과 순수익 차이 / 매출 대비 순이익 / 비율 계산하기 방법

🗂️매출과 순수익

기업 또는 개인의 이익 활동으로 벌어 들인 모든 수입은 매출 또는 순이익으로 표현할 수 있다.

회계 또는 이와 비슷한 일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면 두 단어의 차이가 난해할 수 있다.
둘 다 수입이란 뜻이기 때문.
다만, 이익 활동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경비 또는 비용의 포함 여부에 따라 매출과 순수익이란 단어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익 활동에 의해 발생한 모든 비용에는 인건비, 재료비, 원가, 교통비 등 여러가지가 포함된다.
이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 = 순이익 + 비용

수식을 알면 굳이 단어의 뜻을 몰라도 알 수 있다.

🗂️비용

매출과 순수익 이야기를 하는데 비용이란 뜬금없는 복병이 등장한다.
느낌적으로 매출과 순이익은 이익 활동으로 얻은 보상같은 느낌인데,
비용이란 지갑에서 돈 나가는 불편한 느낌이 있다.
단어에서 풍기는 그 느낌이 맞다.
모든 이익 또는 수익 활동을 시작하면 비용이 발생한다.
교통비부터 식비가 필요하고, 각종 세금이 부과된다.
직원이 있다면 교육비, 급여 등의 활동비 또한 필요하다.
이런 모든 이익 활동에 필요한 금액은 모두 비용으로 처리된다.
즉, 비용이란 어떤 활동에 사용된 금액을 의미한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단어의 뜻

매출은 이익 또는 수익 활동에 의해 얻은 모든 금액이며,
순이익은 매출에서 수익 활동을 위해 발생한 비용을 뺀 금액임을 언급했다.
단어와 뜻을 여러 차례 반복하면 뇌리에 박히고, 이해가 될 것이다.
이제는 정확한 단어의 뜻을 찾아보자.
매출과 순이익은 한자의 뜻을 찾아보면 이해가 더 쉬워진다.

  • 매출
    • 賣出 ( 賣 팔 매, 出 나갈 출 )
    • Sales / Revenue
  • 순이익
    • 純利益 ( 純 순수할 순, 利 이익 이, 益 이로울 익 )
    • Net Income, Net Profit

위의 단어 그대로 해석해 보자.
매출은 팔고 나간다는 뜻이며,
순이익은 순수하게 이로운 이익을 뜻한다.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회계에서 뜻하는 매출과 순이익의 뜻은 다음과 같다.

  • 매출
    - 이익 또는 수익 활동으로 발생한 모든 비용과 벌어 들인 금액
  • 순이익
    - 매출에서 비용을 뺀 나머지 금액

🗂️차이점

매출과 순이익에 대한 차이는 이미 위에서 언급했다.
매출은 이익 활동으로 소비되고 얻은 모든 금액인 비용을 의미하고,
순이익은 이익 활동으로 얻은 금액을 의미한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매출 = 비용 + 순이익

모든 이익 활동에는 돈이 소비되고 이것은 비용으로 칭한다.
비용은 사소한 버스, 전철, 택시 등의 교통비와,
식사를 위한 점심, 저녁, 간식 등의 식대가 있다.
이 외에도 비용의 범위는 상당히 넓다.
다만, 차이점에서 중요한 것은
모든 이익 활동에 대해 비용을 어떻게 관리하는 것에 있다.
같은 활동이라 하더라도, 비용이 적으면 순이익이 많이 남게 마련인 것은 단순한 수식으로 알 수 있다.

그렇다 보니,
비용 절감이란 것은 신경을 많이 쓰는 부분이며,
수익 활동에 의해 필수적인 비용이 어떤 것인지
회의를 하고, 문서를 작성한 후, 결제를 요청하기도 한다.

🗂️예시

매출과 순이익에 대한 간단한 예시를 도식화 해 보자.
중요한 차이는 비용이란 녀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매출은 순이익과 비용이 합한 총수익이다.

매출 / 비용 / 순이익
매출 / 비용 / 순이익

어떤 물건 즉,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자에 제공하고 수익을 받을 때 소비되는 금액은 비용이고,
총 들어온 금액인 매출에서 소비된 비용을 제외하면 순이익이 된다.
위의 표는 그것을 말해 준다.
100,000원을 벌기 위해 70,000의 비용을 사용했다.
거기서 남은 금액은 30,000이다.
즉, 제품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한 후 남은 순수익은 30,000원이다.
( 예시가 좀 부정적이다. 들인 돈에 비해 이익이 작다. )

🗂️매출 대비 순이익 비율

매출과 순이익에 대한 이야기는 마무리하고, 이제는 비율을 계산해 보자.
매 대비 순이익이 많이 남았는가? 적게 남았는가? 그것에 대한 비율을 안다면
회계 장부에서 비용이 사용된 측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월별, 년별로 구분하여 돈의 쓰임이 적절성을 파악할 수 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순이익 비율 = 순이익 / 매출 X 100
만약, 어떤 제품을 팔고, 서비스를 제공한 후 수익이 생겼을 때
1억의 매출이 생겼으며, 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이 3천만원이라면 계산은 다음 같으며
순이익 비율은 30% 이다.
  • 순이익 비율 = 순이익 / 매출 X 100
  • 30% = 30 / 100 X 100

➡️비율 계산 방법

위의 내용에서도 언급했다.
매출과 순이익은 기업 입장에서 민감한 숫자이기도 하다.
물론, 비용이란 측면이 있겠지만, 효율성으로 따진다면 예민해 진다.
어쨌든, 순이익률과 비용 비율에 대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순이익률
    = 순이익 ÷ 매출 × 100
  • 비용 비율
    = 비용 ÷ 매출 × 100

댓글